맨위로가기

정순왕후 (조선 단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순왕후는 조선 단종의 왕비로, 단종이 상왕으로 물러난 후 의덕대비로 봉해졌으나, 단종 복위 운동 실패로 군부인으로 강등되었다. 단종 사후에는 정업원에서 여생을 보냈으며, 숙종 때 단종이 복위되면서 정순왕후로 추존되었다. 그녀는 비극적인 삶 속에서도 민중의 흠모를 받았으며, 영조는 그녀의 넋을 기리는 동망봉을 세우기도 했다. 현재 능은 사릉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40년 출생 - 히노 도미코
    히노 도미코는 무로마치 시대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정실로, 막부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오닌의 난 권력 다툼 개입, 쇼군 후계자 옹립 역할 수행, 막부 좌지우지, 민중 반발 야기 등 논란의 중심에 섰던 인물이며, 후지와라 도미코로 불렸다는 주장도 있고 다양한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 1440년 출생 - 카비르
    카비르는 15세기경 인도에서 활동한 시인이자 성자로, 힌두교와 이슬람교의 위선을 비판하며 내면의 성찰을 강조했고, 그의 사상은 카비르 판트 종교 공동체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1521년 사망 - 페르디난드 마젤란
    페르디난드 마젤란은 포르투갈 출신의 탐험가로, 스페인의 지원을 받아 서쪽 항로를 통해 향신료 제도에 도달하려 했으나 필리핀에서 사망했고, 그의 함대는 세계 일주를 통해 지구의 둥근 형태를 증명했지만 유럽 열강의 식민지배를 야기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1521년 사망 - 조스캥 데프레
    조스캥 데프레는 르네상스 시대 프랑코-플랑드르 악파의 작곡가로, 모방 기법을 활용한 모테트를 비롯하여 미사, 샹송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으며, 유럽 전역의 유력한 후원자들을 섬기며 명성을 얻었다.
  • 조선의 왕대비 - 정현왕후
    정현왕후는 조선 성종의 계비로서 중종의 어머니이며, 1462년에 태어나 1480년 왕비가 되었고, 연산군 즉위 후에는 왕대비, 중종반정 이후에는 자순화혜왕대비로 불리다가 1530년에 사망하여 선정릉에 안장되었다.
  • 조선의 왕대비 - 문정왕후 (조선)
    문정왕후는 조선 중종의 계비이자 명종의 어머니로서, 정치적 숙청과 불교 중흥 정책을 펼치며 조선 정치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인종의 죽음 관련 의혹이 있으며, 그녀의 능은 태릉이다.
정순왕후 (조선 단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조선 단종의 왕비 정순왕후
정순왕후
왕비 정보
왕후 즉위1454년 1월 22일 (음력)
왕후 폐위1455년 윤6월 11일 (음력)
다른 칭호의덕왕대비, 노산군부인, 노산부인
존호의덕(懿德)
휘호단량제경(端良齊敬)
시호정순(定順)
배우자단종
자녀없음
가문여산 송씨
아버지여량부원군 송현수
어머니여흥부부인 여흥 민씨
출생일1440년
사망일1521년 7월 17일 (양력)
능묘사릉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사능리 107)
전임 왕비소헌왕후 심씨
후임 왕비정희왕후 윤씨
왕대비 정보
왕대비 즉위1455년 윤6월 11일 (음력)
왕대비 폐위1457년 6월 21일 (음력)
전임 왕대비후덕왕대비 민씨 (원경왕후)
후임 왕대비자성왕대비 윤씨 (정희왕후)

2. 생애

1454년 1월 22일, 단종의 왕비로 책봉되었으나, 1455년 단종이 상왕이 되자 의덕대비로 책봉되었다. 1457년, 사육신이 단종 복위를 모의하였으나 실패하고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등되자, 정순왕후는 부인으로 강등되었다. 청계천영도교는 영월로 유배되는 단종과 정순왕후가 이별한 다리라고 하며, “영원히 건넌 다리”라는 뜻으로 지어졌다고 한다. 정순왕후는 자녀가 없었고, 단종 사후 정업원에서 여생을 보냈다.

1698년 (숙종 24년), 단종이 복위되자 정순왕후로 추복되었다. 능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에 있는 사릉이다.[1]

2. 1. 생애 초기

본관은 여산로, 전라북도 정읍군 태인면(현 칠보면[3])에서 태어났으며, 판돈녕부사 등을 역임하고 영돈녕부사로 추증된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 송현수의 딸이다. 어려서 아버지 송현수를 따라 한성부로 이사하였다.

1440년 정읍의 여산 송씨 가문에서 송현수와 그의 부인인 여흥 민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 아버지를 따라 한성으로 이주하였다. 정순왕후의 성격은 정중하고 겸손한 것으로 묘사된다.

외가 쪽으로는 장순왕후공혜왕후가 사촌 지간이며, 정현왕후(조선 중종의 어머니)와는 먼 친척 관계이다.

외숙모인 대방부주는 소헌왕후세종의 여덟째 아들 영응대군의 후처였다. 외숙모는 남편 사후 당시 군장사의 전임 지사였던 승려 학조(1431~1514, 본명 김영형, (신) 안동 김씨)와 간통한 사실이 알려져 1507년 간통죄로 처형되었다. 그러나 외가 쪽 사촌인 길안옹주를 통해 결국 인헌왕후(조선 원종의 왕비이자 인조의 어머니)의 증조할머니가 되었고, 정순왕후와는 먼 친척 관계이다.

2. 2. 왕비 간택과 폐비

1454년 단종과의 혼인을 통해 왕비로 간택되었는데, 성품이 공손하고 검소하며 고모가 영응대군의 부인이라는 점이 크게 작용하였다. 1454년 2월 19일(음력 1월 22일)에 단종과 혼인하여 왕비에 책봉되었다.[1] 1455년, 세조가 왕위에 오르자 왕대비가 되어 의덕(懿德)의 존호를 받았다.

1457년, 사육신의 단종 복위 운동이 발각되자 단종은 노산군으로 강봉되어 영월군으로 유배되었고, 정순왕후는 군부인이 되어 궁에서 쫓겨났다.[1] 이후 노산군부인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귀환 후, 정순왕후는 동대문 밖 숭인동의 청룡사 부근 초암에서 궁녀들과 함께 살았으며, 생계를 위해 염색 일 등을 하였다.[1] 이웃 궁녀들이 그녀를 불쌍히 여겨 관청의 허락 없이 식량과 물품을 몰래 나눠주기도 하였다.

1457년 11월, 노산군은 유배지에서 처형되었으며, 청계천영도교(zh)는 노산군과 정순왕후가 마지막으로 만난 곳으로 알려져 있다.[1] 남편의 죽음 이후, 정순왕후는 매일 영월군을 향해 통곡하며 넋을 위로했다.

이후 정순왕후는 창덕궁 인근의 정업원(zh)에서 생활하였다.[2] 정업원은 왕족의 빈이나 폐출된 왕비들이 궁궐을 나와 여생을 보내는 곳이었다.

2. 3. 비극적인 삶과 민중의 흠모

세조계유정난을 일으켜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르자, 정순왕후는 친정마저 풍비박산이 났다.[1] 사육신 등 단종 복위 운동이 실패로 돌아가고 단종이 영월로 유배된 뒤 죽임을 당하자, 정순왕후는 더욱 비극적인 삶을 살게 되었다.

정순왕후는 동대문 밖 숭인동 청룡사 근처에 초가집을 짓고 시녀들과 함께 살았다.[2] 시녀들이 동냥해 온 것으로 끼니를 잇고 염색업을 하며 어렵게 살았는데, 이를 안 세조가 집과 식량을 내렸으나 끝내 받지 않았다. 동네 아녀자들이 조정의 눈을 피해 먹을 것을 건네주고자 시장을 조직하기도 했다.[1]

청계천영도교(永渡橋)는 귀양 가는 단종과 정순왕후가 마지막으로 헤어진 곳으로 전해진다.[4] 단종이 유배지 영월에서 죽자, 정순왕후는 매일 아침저녁으로 큰 바위에 올라 영월을 향해 통곡하며 단종의 명복을 빌었다. 훗날 영조는 이 바위에 '동망봉(東望峰)'이라는 글씨를 새기게 했다.[4] 일제강점기 때 동망봉 근처가 채석장으로 쓰이면서 바위는 깨어져 나가고, 2011년 현재 종로구 낙산 근처 동망봉 남쪽에는 동망정이라는 정자가 들어서 있다.[4]

세조는 정순왕후를 '신분은 노비이지만 노비로서 사역할 수 없게 하라'는 명을 내려 창덕궁 인근의 정업원(淨業院)으로 보냈다.[2] 정업원은 남편을 잃은 후궁들이 출궁하여 여생을 보내던 곳이다.[2]

조선 말의 문장가이자 역사가인 김택영신숙주가 정순왕후를 자신의 종으로 달라고 했다고 주장했으나, 반론이 많아 사실 여부는 알 수 없다.[5]

2. 4. 죽음과 복위

1521년 7월 7일(음력 6월 4일) 중종 16년에 정순왕후는 81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1] 중종의 재위 초기, 사림파조광조 등에 의해 복위가 주장됐으나 중종은 이를 거부했다.[1] 그 뒤 현종 때부터 송시열김수항 등은 단종과 정순왕후의 복위를 거듭 건의했다.[1] 그들은 세조의 단종 살해는 측근들의 오도에 휘둘린 것이며 본심은 단종 살해에 있지 않았다고 주장했다.[1]

1698년 12월 7일(음력 11월 6일) 숙종 24년에 단종과 정순왕후는 복위되어 시호를 받고 종묘 영녕전에 신위가 모셔졌다.[1] 정순왕후의 별세 때에는 대군부인의 격에 따라 치러진 장례로 경기도 양주군(楊州) 군장리(群場里, 현재의 남양주시 진건읍 사릉리)에 매장됐다.[1] 단종과 정순왕후의 복위로 종묘에 배향되면서 능호를 사릉이라 했는데 이는 억울하게 살해된 남편을 사모(思慕)한다는 뜻에서 지은 것이다.[1]

정순왕후의 묘소 뒤편에 심은 나무들이 단종의 능인 장릉쪽을 향해 고개숙여 자란다는 전설이 한때 전해졌다.[1] 무속의 신의 한 명으로 숭배됐는데, 무속에서는 그를 송씨부인 신이라 부른다.[1]

3. 가족 관계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 - 사망
조부송복원1390년 ~ 1454년
조모순천 김씨
외조부민소생
외조모능성 구씨
아버지여량부원군 송현수1417년 ~ 1457년 10월 21일
어머니여흥부부인 여흥 민씨1418년 ~ 1498년
남동생송거1449년 ~ 1541년
숙모대방부부인? ~ 1507년
남편단종1441년 8월 18일 ~ 1457년 11월 16일
시아버지문종1414년 11월 15일 ~ 1452년 6월 10일
시어머니현덕왕후 권씨1418년 4월 26일 ~ 1441년 8월 19일
시누이경혜공주1437년 ~ 1474년 1월 17일
조카정미수1456년 ~ 1512년

4. 기타

정순왕후조선 단종의 왕비로, 사육신 사건 이후 영월로 유배된 단종과 이별하고 평생 그를 그리워하며 살았다. 이러한 비극적인 삶은 후대에 많은 영감을 주어 드라마, 영화, 소설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4. 1. 관련 문화재

정업원터

4. 2. 대중 매체

정순왕후는 여러 드라마, 영화, 소설 등 대중 매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묘사되었다.

4. 2. 1. 드라마


  • 1990년 KBS 드라마 파천무에서는 신은경이 정순왕후 역을 연기했다.[1]
  • 1994년 KBS 드라마 한명회에서는 박루시아가 정순왕후 역을 연기했다.[1]
  • 1998년~2000년 KBS 드라마 왕과 비에서는 김민정이 정순왕후 역을 연기했다.[1]
  • 2011년~2012년 JTBC 드라마 인수대비에서는 조정은이 정순왕후 역을 연기했다.[1]

4. 2. 2. 영화


  • 1956년 영화 《단종애사》에서 엄앵란이 정순왕후를 연기하였다.
  • 1963년 영화 《단종애사》에서 전계현이 정순왕후를 연기하였다.

4. 2. 3. 소설

김별아의 소설 《영영 이별 영 이별》은 정순왕후의 일생을 다룬 소설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Royal Ladies of Joseon Dynasty https://thetalkingcu[...] 2021-08-19
[2] 웹사이트 Forgotten story of Princess Gyeonghye https://www.koreatim[...] 2022-10-25
[3] 뉴스 이종범 교수의 호남인물열전 [8] 정극인… 백성과 섞여 살며 '사회운동' 빛 밝혀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1-07-10 # 추정 날짜. 기사 URL의 날짜 정보를 사용했습니다.
[4] 웹인용 생생 역사 현장 탐방 3 - 단종비 애환 담긴 '동망봉' http://weeklyseoul.n[...]
[5] 뉴스 ‘영도교 건너 영영 이별’ 단종 부부의 슬픈 전설만…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6-06-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